Skip to main content

EKS 1.32 업데이트 그리고 새로운 업데이트 방식

· 19 min read
박진홍
백엔드팀

안녕하세요, 비브로스 DevOps 박진홍입니다.

23년도에 EKS 업데이트 방식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어김없이 찾아온 EKS 1.29버전의 지원 종료로 인해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했습니다.

기존 CDK를 통해 EKS를 배포하고 In-place 업데이트하던 방식에서 EKSCTL을 통한 Blue-Green/Record 변경 방식으로 운영하다가 약 2년이 지나 해당 업데이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업데이트 방식을 검토하고 도입하기로 한 여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KS 업데이트시 고려했던 부분도입 과정 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똑닥 인프라의 고도화 과정 을 일부 추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똑닥닷컴 SEO(a.k.a. 네이버 월 노출 수 1000만 달성기)

· 21 min read
박서영
프론트엔드 챕터

image.png

안녕하세요. 비브로스 프론트엔드 개발자 박서영입니다.

혹시 네이버에서 ‘아기 토’, ‘38도’와 같은 건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에서 똑닥닷컴을 발견한 적 있으실까요? 불과 1년 전만 해도 똑닥닷컴의 커뮤니티 페이지들은 네이버와 구글 검색 결과에 노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을 통해 똑닥닷컴 전반의 검색 노출 성과를 개선하였는데요. 그 결과, 네이버 월 노출 수는 약 2만 건에서 1,000만 건으로, 구글 월 노출 수는 7천 건에서 90만 건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며 알게 된 지식을 공유하고, 도움이 될 만한 문서 및 개발 도구들도 같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테스트 코드 작성 가이드(근데 이제 Jest를 곁들인)

· 57 min read
김예림
백엔드팀

안녕하세요, 비브로스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김예림입니다.

개발 과정에서 이제는 테스트 코드가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여전히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내가 쓰고 있는 기법의 정확한 의미나 스타일을 잘 알지 못하거나, 어느 정도로 작성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아 혼란스러웠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이런 경험들이 쌓이다 보니 점점 테스트 코드의 필요성도 희미해지고 귀찮고 불필요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들을 위해 테스트 코드 작성 가이드를 준비해보았습니다. 이 글은 방대한 이론서처럼 어렵게 쓰인 문서가 아니라, 가볍게 읽으며 기초와 목적성을 다질 수 있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글을 읽고 테스트 코드 작성의 감을 잡아보고, 더 궁금한 점이 생기면 스스로 찾아보게 되는 출발점이 되었으면 합니다.

여기에 Jest를 살짝 곁들였으니, 맛있게 읽어주세요! 😊

나야

똑닥 멤버십과 MongoDB 트랜잭션 충돌 방지 방법

· 15 min read
허민지
백엔드팀

안녕하세요, 백엔드팀 허민지입니다.

오늘은 똑닥에서 멤버십 서비스를 도입하게 된 배경과 함께, 멤버십 런칭 과정에서 새롭게 적용한 MongoDB Transaction,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했던 에러 사례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ROP Pattern

· 21 min read
고윤호
백엔드팀

안녕하세요. 비브로스 백엔드 개발자 고윤호입니다.

이번에는 이름은 낯설지만 막상 들어보면 친숙한 개념인 ROP Pattern을 소개하고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함께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Argo Events 도입기

· 18 min read
박도준
백엔드팀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비브로스에서 DevOps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박도준입니다.

최근 비브로스에 새롭게 합류하여 온보딩 기간을 거쳐 첫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해당 업무는 Argo Events를 사내에 도입하는 것이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Argo Events를 도입하는지와 "어떻게" 구성하고 사용하는지 공유드리려 합니다.

Backend , Frontend 공통 IDL 적용

· 12 min read
이태홍
프론트엔드 챕터

시작하게 된 계기

안녕하세요, 똑닥에서 Frontend 개발을 하고 있는 이태홍입니다.

똑닥에는 javascript를 사용할 때 typescrip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 별도로 작업을 하다 보니 서로 각자에게 맞는 타입을 작성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왜? 굳이?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Ryan Reynolds What GIF by ABC Network

그래서 한번 하나로 통일해서 써볼 수 있게 해볼까? 라는 생각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By Me Hannah GIF by HannahWitton

MongoDB Timeseries를 활용기

· 12 min read
배정석
백엔드팀

사건의 발단

안녕하세요, 비브로스에서 백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 배정석입니다.

비브로스에는 기존부터 운영하고 있는 로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있었습니다.

이름하야 로-그 서버!

...는 레거시라고 밖에 부를 수 없는 신세가 되어 있었죠.

그래서 이참에 리팩토링하고, 플랫폼화 하여서 다양한 로그들을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게 만들어보자! 라는 얘기가 나오면서 Timeseries DB를 활용해서 만들어보자는 얘기까지 진척되게 됩니다.

그 이후로 여차저차해서 그 일은 제 일이 됩니다.

house_fire.png

AWS Node Auto Scaler Karpenter 도입기

· 19 min read
박진홍
백엔드팀

안녕하세요, 비브로스 백엔팀에서 인프라를 맡고 있는 박진홍입니다.

23년 상반기 EKS Blue-Green 업데이트에 이어 Karpenter 도입기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기존 AWS Cluster AutoScaler를 사용하였지만, 스파크성 트래픽시 노드 스케일링 속도에 문제가 있었고 비용 최적화를 위해 Karpenter 도입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시작하기전 Kubernetes 엔지니어들의 많은 고심이겠지만.. 인프라의 변경사항은 "낭만이 아니라 헬이다!!!" 라는 말과 같이 유사한 영상이 있어 공유드립니다!

웃으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Gitops를 활용한 AWS EKS Blue-Green 업데이트 적용기

· 15 min read
박진홍
백엔드팀

안녕하세요, 비브로스 백엔드팀에서 인프라를 맡고 있는 박진홍입니다.

비브로스에서는 Amazon Cloud의 EKS Service를 사용하고 있고, 당시 최상인 1.22 버전의 EKS를 사용환경에 적용하였습니다. 똑닥 서비스들의 배포되고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던 도중 심판의 날이 다가오게 되었습니다.

EKS 최신 버전을 당시 구성하여도 약 3개월 1번씩 EKS 버전이 새로 나오게 되며, 약 1년 뒤에는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저희는 기존 사용 중인 클러스터를 업데이트 하는 방식(In-place 롤링 업데이트)가 아닌, Gitops를 활용한 Blue-Green 방식으로 클러스터 업데이트를 진행한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